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투자 이야기61

투자계절의 판단 23년 장기국채 매수는 적절한 판단이었을까? 23년도 언제인가 부터 지속적으로 기사가 났다. 미국 장기채권에 투자한 한국의 개미들의 매수금액이 엄청나다는 기사였다. 심지어 레버리지 상품인 TMF를 매수했다는 기사였다. 보통 투자는, 남들이 많이하는 것을 했을때 성적이 좋지 못하다는 속설이 있다. 난 분명 나의 기준을 갖고 판단했으며 장기채를 매수하였지만, 저런 기사를 볼때 기분이 좋지 않았다. 금방 언급한 속설 때문이였다. 그렇다면 난 23년 3월 왜 장기채권 매수를 시작했으며, 과연 그 당시 판단은 현명한 판단이었을까? 다시 돌아가도 똑같이 판단할 것인가? 이번 글은 나의 행동을 되돌아보고 그당시 판단의 기준을 다시 점검하기 위함이다. 매수, 매도에 대한 판단은 투자계절에 대한 판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투자계절을 판단하는 것은 경기,물가,금리 세.. 2023. 12. 6.
삼성전자 전망/정말 팔아야 할까?(feat 모건스탠리) 모건스탠리에서는 얼마 전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를 팔아야 한다 라고 강하게 언급했다. 과연 삼성전자의 전망은 어떠하며, 지금 삼성전자를 매수하거나 홀딩하기엔 어떠할지에 대해 알아보자. 컨센서스 확인이 최우선 특정기업의 사업부를 정확히 알고 있으며 정확한 전망을 할 수 있는 일반인은 얼마나 될까? 최근 z플립3 등 핸드폰쪽은 분명 나쁘지 않아보이기도 하고...근데 메모리반도체는 최악이라는 전망들도 나오고...과연 나는, 우리는 삼성전자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을까? 애널리스트 뺨치는 실력의 분석능력을 갖고 있어야 하며, 일부 내부정보까지 가지고 있어야 정말 정확한 분석이 될 듯하다. 얼마 전 모건스탠리에서 삼성전자를 팔아야 한다고 강하게 언급한 바 있다. 그렇다면 이 세상에 모건스탠리의 의견만이 진실일까? 그.. 2021. 8. 27.
채권시장으로 보는 21년 8월 주식시장 현황(하이일드 스프레드) 21년 여름까지 미국 주식시장은 좋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특히 S&P 500은 최고치를 계속해서 갱신했다. 하지만 최근 그 상승세가 주춤거리고 변동성이 높아지고 있기도 하다. 더불어, 신흥국은 조정을 받고 있기 때문에 채권시장, 즉 하이일드 스프레드를 기준으로 전체 시장을 한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하이일드 스프레드와 S&P 500 하이일드 스프레드와 주가지수는 '역의 관계'이다. 그렇기 때문에, 주가가 하락을 했거나 스스로 앞으로 주가의 행보가 불안하다고 판단될때 좀더 냉철해질 수 있는 지표로서 도움을 주곤 한다. 위의 그래프를 보면, S&P 500은 2021년 8월 16일 4,472를 찍으며 사상 최고치를 찍고 내려왔으며 현재까지 큰 움직임은 없다. 하이일드 스프레드는 7월 1일 3.02를.. 2021. 8. 18.
금리상승 수혜주(은행주&FAS&XLF) 금리상승의 최대 수혜주는 은행주였습니다. 너무나도 은행주의 상승세가 확실한 상황에서 FAS(은행주 3배 레버리지)로 상당한 수익을 거뒀고, 이제는 다시 기술주로 일부 리밸런싱을 해야하는 타이밍이라고 생각합니다. 들어가며 2021년 3월 주식시장의 최고의 화두는 단연 미국 10년물 국채금리의 상승과 나스닥의 하락이었다. 그동안 미국 장기국채와 주가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몇 차례 포스팅을 했기 때문에 또다시 자세히 글을 나열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혹여나 추가내용이 필요하신 분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2021.02.27 - [투자/투자 이야기] - 미국 경기부양책과 주가 전망(장기국채 전망) 미국 경기부양책과 주가 전망(장기국채 전망) 미국의 1.9조 달러 규모 경기부양책이 하원을 통과했다.. 2021. 3.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