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투자 이야기61

미국 경기부양책과 주가 전망(장기국채 전망) 미국의 1.9조 달러 규모 경기부양책이 하원을 통과했다. 위의 기사들이 속보로 퍼져나가고 있다. 1.9조 면 원화로 약 2100조 원의 규모이다. 이날 통과된 부양 안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국인 구조 계획(American Rescue Plan)'이라고 명명한 역대급 코로나19 부양책이다. 지난해 12월 통과된 9000억 달러(약 1013조 원) 부양 안을 확대 및 보완하는 데 방점을 찍고 있다. ※미국 1년 예산 규모 : 약 4조 5000억 달러 (약 4800조 원) ※한국 1년 예산 규모 : 약 500억 원 (미국 1년 예산의 10% 수준) ※미국 1.9조 달러 규모의 미국 경기부양책은 미국 1년 예산의 40% 이상의 규모 미국 경기부양책 내용 경기 부양책 구분 규모 가계지원 10,000억 달.. 2021. 2. 27.
미국 10년물 국채금리와 신용경색 & 주가 조정(하이일드 스프레드) 신용 경색이란? 한국말에는 한자가 들어가서 단어만 딱 들었을 때 어렵게 느껴지는 단어들이 많습니다. 신용경색이란 단어 많이들 들어보셨을 겁니다. 경색이란 단어는 동맥이 막혀서 조직으로 혈액이 들어가지 못하게 되어 조직이 괴사를 일으키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어렵습니다 ㅎㅎ 그냥 쉽게 표현하면 '잘 흐르지 않는다'정도로 이해하면 될 듯합니다. 뇌경색 심근경색 등... 조금은 무서운 단어들이 많죠. 금융시장에서 활용되는 신용경색도 그리 좋은 단어는 아닙니다. 돈이 유통되지 못하고 막혀버렸다는 뜻입니다. 지금 돈이 필요한데 나한테 돈을 빌려줄 사람이 없게 되는 현상이죠. 미국 10년 물 국채 금리의 급등으로 나스닥이 급락했다는 기사가 수없이 많이 게시되었습니다. 마치 국채금리가 급등하면 세상이 요절날 것만 같은.. 2021. 2. 26.
미국 국채금리 상승과 주가의 상관관계 기준금리와 장기금리는 구분하여야 하며, 장기금리가 오른다고 꼭 주가가 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장기금리는 왜 올라가는지, 기준금리는 언제 올릴지, 주가와는 어떤 순서로 움직이는지 알아봅시다. 국채금리 &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 국채 수익률 이번에 포스팅 할 내용은 반드시 채권에 대한 기본을 숙지해야 합니다. 내용이 헷갈리시는 분이시라면 이전 포스팅을 먼저 참조하시길 당부드립니다. drama-recommend.tistory.com/82 채권 이야기[채권 수익률,할인율,가격변동,표면금리,시장금리] [채권 수익률] [채권 할인율] [채권 가격의 움직임] [채권의 표면 금리 vs 시장금리(유통금리)] 채권을 접하면서 용어들이 정말 헷갈렸다. 채권 수익률, 할인율, 표면금리, 시장금리 이런 말들을 drama.. 2021. 2. 25.
금 ETF 분석 & ISA 계좌 & 연금저축펀드 금에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_자산배분 무언가 하나에 몰빵 하는 투자는 항상 위험을 동반한다. 내가 선택한 자산이 최근 비트코인 마냥 폭등을 한다면 좋겠지만 10여 년간 횡보를 하거나 하락할 수도 있다. 항상 생각해봐야 한다. 내가 그렇게 감이 좋을까? 난 세상이 보지 못하는 무언가를 볼 수 있는 사람인가? 난 내가 선택한 가치관을 믿고 10년이고 묵직하게 기다릴 수 있을까? 난 멘탈이 좋은 사람인가? 여기에 대한 나의 대답은 NO였다. 투자에 대한 공부는 당연히 평생 가져가야 하지만, 다양한 자산군에 나누어서 투자해야 한다는 것이 나의 결론이었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말은 괜히 나온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주식과 금의 10년간의 모습은 어떠했을까? 위의 그래프에서 빨간색 그래프는 S&P 50.. 2021. 2.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