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 순환선의 의미는 무엇이며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제조 PMI와 함께 경기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는 재고 순환선(재고순환지표)이다.
먼저 정의를 짚고 넘어가 보면
'기업이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위해 시장으로 물건을 내보내는 출하의 증가율(전년 동월 대비)과 판매하지 못하고 창고에 쌓아두는 재고의 증가율(전년 동월 대비)의 차이를 보여주는 지표로, 산업별 체감경기를 파악할 수 있다'
직접 한번 해보기로 했다. 우선 미국을 기준으로 출하 지표(products)와 재고지표(inventories) 두 가지가 필요했다.
ISM(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에서는 매월 보고서를 발간하는데, 해당 자료에서 출하 지표와 재고지표를 바로 찾을 수 있다
※ISM 사이트 링크
사이트에서 Supply Management News & Reports를 누르고, ISM Report On Business를 클릭하면 보고서를 볼 수 있다.
문제는 과거 자료였다. 내가 사이트를 활용할 줄 모르는 것인지, 아니면 어쩔 수 없이 노가다를 해야 하는 것인지 과거 자료가 정리되어있는 것을 찾을 수가 없었다. 결국 직접 하나하나씩 보고서를 보고 몇 년 치 자료를 정리해봤다.
계산은 어떻게 해야 할까?
생산 지수 | 출하 증가율 | 재고 지수 | 재고 증가율 | 재고순환선 | |
19년 9월 | 47.3 | 46.9 | |||
20년 9월 | 61.0 | +29.0% | 47.1 | +0.4% | +28.5% |
1) 출하 증가율 : 20.9월 생산 지수(61.0) ÷ 10.9월 생산 지수(47.3) - 1
2) 재고 증가율 : 20.9월 재고 지수(47.1) ÷ 10.9월 재고 지수(46.9) - 1
3) 재고 순환선 : 출하 증가율(29.0%) - 재고 증가율(0.4%)
아래의 파일들은 재고순환선 그리고 PMI지수의 장기 데이터를 정리한 자료, 그리고 삼성경제연구소에서 만들었던 보고자료이다.
그럼 이제 재고순환선을 한번 살펴보자. 1948년 자료부터 2020년 9월까지의 재고순환선을 그래프로 만들어보았다.
간격과 상하 진폭의 크기가 일정하지는 않지만, '순환'된다는 것만큼은 분명해 보인다.
그렇다면 제조 PMI와 겹쳐서 표현하면 어떤 모습을 보일까?
거의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는 시기도 있고, 조금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드는 구간도 있어 보인다. 재고순환선을 조금 다르게 보면 이해가 갈 수 있다. 재고 순환선은 그 움직임이 꼭 위아래로 움직인다기보다는, 지표의 특성상 0% 이상이면 경기가 좋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잔잔하게 큰 진폭 없이 위아래로 움직이는 듯해 보여도, 0% 위에 있는 기간이면 경기가 좋다고도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유 때문에도 몇 가지 지표를 함께 보아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