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주가가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의 상승에 대해 관심들이 많다. 또한 인플레이션과는 어떠한 관계인지 문의를 주시는 분들이 많다. 이번 포스팅은 이에대한 스터디 내용이다.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이란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전반적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현상을 뜻한다. 주의할 점은 자산가격의 인플레이션과 실물의 인플레이션은 다르며, 인플레이션이라고 뉴스에서 거론되는 것은 후자에 대한 내용이다. 자산 가격(주식, 부동산)은 제외되어 있다는 점을 꼭 인지해서 헷갈리지 않을 수 있다.
※인플레이션 발생 원리에 대한 기존 포스팅
2021/01/22 - [투자/경제 지표 & 경제용어] - 인플레이션은 정말 발생할까?
기대 인플레이션(BEI)
미국 국채금리와 인플레이션의 상관관계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안타깝게도 기대 인플레이션에 대한 개념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 기대 인플레이션이란, 말그대로 경제 주체들이 앞으로 예상하는 인플레이션율이다. 이는 현재 실제 인플레이션과는 분명 차이가 있다.
Breakeven Inflation Rate
미국의 일반 국채와 인플레이션 연동 미국 국채(TIP)간 수익률 격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연방준비제도와 투자자들의 인플레이션 전망치를 가늠할 수 있는 선행지표다. BEI가 올랐다면 이는 채권 매매자들이 향후 물가상승률이 오를 것이라는 쪽에 베팅을 걸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실제 인플레이션과 기대인플레이션 그래프 비교
파란색은 기대인플레이션이며, 빨간색은 실물 인플레이션(식료품, 에너지 제외, 근원물가)이다. 실제 인플레이션은 아직 1.6%에 도달하지 못했지만, 기대인플레이션은 2.2%를 상회하고 있다. 기대인플레이션과 실제 인플레이션은 똑같이 움직이지는 않지만 장기간 추세를 보면 결국 비슷하게 움직여왔다. 지금은 기대인플레이션이 먼저 치고 올라간 상황이다. 이러한 기대인플레이션이 다시 내려올지, 아니면 실물 인플레이션이 기대인플레이션을 쫓아 올라갈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인플레이션과 국채금리와의 관계
다시 원래의 목적으로 돌아와보자. 실제 인플레이션은 우선 제쳐두자. 국채금리는 기대인플레이션과 더 관련이 있다. 기본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1) 경제 주체들이 예상하는 인플레이션의 상승
2) 명목 채권에 대한 인기 감소하기 시작
=> 명목 채권은 미래의 특정시점에 내가 얻을 수 있는 수익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
=> 10년뒤에 원금과 이자 포함 100만 원을 받기로 되어있는데,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면 지금 10년 뒤의 100만 원의 가치가 자꾸만 떨어진다.
3) 명목채권 입찰 경쟁률 저하 및 명목 채권의 가격 인하
4) 채권의 가격인하 = 채권 수익률(금리) 상승
※여기서 얘기한 금리는 모두 10년물 정도의 장기 금리에 해당한다.
여기까지 설명을 했지만, 누간가는 또다시 헷갈릴 수 있다. 금리가 올라가면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것 아닌가? 뭔가 이상하다. 인플레이션이 올라가서 국채금리가 올라갔는데, 금리가 올라가면 인플레이션을 잠재우는 것 아닌가? 나도 처음 공부를 시작할 때 의문을 품었던 내용이다. 앞뒤가 안 맞는다.
하지만 일련의 과정을 시간 순서와 함께 같이 생각해야 한다. 조금 더 다르게 표현해보자..
1)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
2) 장기채권 가격 인하 및 장기채권 금리 인상하기 '시작'
3) 아직까지는 장기금리가 올라가도 기업을 비롯한 경제 주체들에게는 이자 비용이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는 않는 수준, 기업들의 실적 발표들이 기대치를 상회한다.
4) 기대인플레이션 및 국채금리가 높은 계속 올라가거나 높은 상태에서 유지되면서 기업의 성장성이 멈추면서 장기금리가 부담으로 다가오기 시작
5) 경기 완화 단계를 넘어 경기침체로 전환
6) 경기침체 단계로 가면서 장기국채에 대한 인기도 상승 및 장기금리 인하
여기서 연준의 기준금리를 언제 올리느냐에 따라 4)이 앞당겨지기도 하고 늦어지기도 한다. 연준은 코로나 이후 인플레이션이 2% 이상 달성되고 고용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겠다고 확언했다.
결론
앞에서 여러 가지를 언급했지만 이해가 잘되지 않더라도 이렇게만 이해하면 될 듯하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감이 올라가면서 현금의 가치가 떨어지고 미래 원금과 이자가 고정되어있는 상품인 장기국채에 대한 인기도가 떨어진다(장기국채 수익률의 상승=장기금리 상승)
★경기상승이 둔화되고 디플레이션에 대한 위기감이 조성되며 장기국채의 수요 증가 및 장기금리 인하
같이 읽으면 좋을 글들
2020/10/03 - [투자/투자 이야기] - 주식 섹터투자에 관한 산업경기 사이클 접근법 (1)
2020/11/18 - [투자/투자 이야기] - 경기순환 사이클 투자 이야기 (여름/호황기/Mid-cycle phase)
2021/02/27 - [투자/투자 이야기] - 미국 경기부양책과 주가 전망(장기국채 전망)
2021/02/26 - [투자/투자 이야기] - 미국 10년물 국채금리와 신용경색 & 주가 조정(하이일드 스프레드)